새벽에 갑자기 생각나서 본 영화. 2005년 개봉작이니 벌써 13년 전 영화다.


정우성, 임수정, 차태현, 신민아, 여진구. 지금와서 보니 캐스팅도 어마어마하다.

제목에서 이미 Sad Ending 임을 알려주고 있다.


누구나 생각할법한 뻔한 스토리지만 잔잔한 전개라 센치한 새벽, 혼자 즐기기 좋은 영화가 아닐까하는 생각이 든다.

이 영화를 보면서 제목처럼 새드앤딩이라 가장 슬펐던 에피소드는 염정아*여진구 모자의 이야기. 

성인이 되고 나도 엄마만큼 나이가 들어도 우리 엄마가 아프다는건 상상조차 하고 싶지 않은 일인데, 아직 어린 아들이 엄마와 이별하고 싶지 않아하는 이야기가 정말 뭉클하다.


여진구의 데뷔작이라는데... 그 때 나이 8살. 이미 이때부터 연기는 완성형이다 완성형.

슬픈 와중에 8살 여진구 연기력에 감탄하면서 영화를 끝까지 봤던 것 같다.


이 영화에서 차태현이 이별을 대신 전해주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데, 마지막에 아픈 엄마에게 아들의 메세지를 전해주는 장면은...

"울어라!!!"하고 만든 장면인 걸 알면서도 울어버리게 되는 기분이다. 자칫 진부하고 뻔할 수 있는 장면이지만 차태현이 보여주는 정말 진솔한 연기가 진부하고 뻔함을 넘어서는 것 같다.



+) 영화 속에 8살 여진구는 13년이란 세월이 흘러 성인이 되었는데.. 함께 연기했던 차태현은 지금이랑 얼굴이 그대로다...(놀라움)

 기회가 되면 여진구랑 차태현이 다시 만나는 모습을 꼭 한번 보고 싶다. 둘이 같이 그네에 앉아 있는 장면 2018년 ver. 으로 다시한번 보고 싶다!

 (1박 2일에 여진구 좀 불러주면 좋겠네.......크크크크큭)

[영화] 신과 함께, 저승편 REVIEW - 흥행의 이유


-엘(el) 리뷰


영화 신과함께의 관객수가 1350만명을 돌파하면서, 역대 한국영화 관객수 top3에 진입하였다. 영화 리뷰만 보았을 땐 후기가 명확하게 나뉘는데(불호의 후기가 좀 더 기억에 남긴 하지만..), 관객들의 후기에 비하여 관객수가 상상을 초월하고 있는건 사실일듯 하다.




원작에 대한 기본적인 스토리를 몰랐고, 판타지 요소의 영화를 싫어하는 나로써는 기대없이 영화를 접했기 때문인지.. 생각보다 재미있었고, 소재 자체가 가진 매력이 엄청난 영화라고 생각했다. 많은 사람들이 사후세계에 대하여 생각하고 상상하지만 생전의 죄에 대한 심판을 거칠 것이라는 상상을 했다는 것 자체가 놀라웠다. 그리고 7번의 재판을 통해 죽어서 자신의 삶을 돌아보며 느끼는 점 역시 흥미로웠다. 


단지 한국형 신파적 요소가 있어, 영화 자체의 세련됨과 트렌디함은 없었지만, 이 영화의 소재 자체가 신파적 요소와 접목하였을 때 더욱 빛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그 부분 역시 재미있게 볼 수 있었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주인공인 김자홍은 매우 힘겹지만 열심히, 최선을 다해 삶을 살았다고 보여주었다. 이 점을 더 부각시키기 위해 소방관이라는 직업을 설정한 것은 좋았지만, 이 설정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느낌이 들었다. 


원작인 웹툰에 비하여 시간이 제한적이고 그림으로 표현했던 것을 실제로 구현해내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도 원작을 본 사람이라면 아쉬움이 남을 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웹툰으로 가능했던 부분을 영화로 구현했다는 점에서 좋았다. 이 영화에서 교훈을 기대했던 것이 아니기 때문에 새로운 소재와 감동 만으로도 만족을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 배우들의 연기력이 이 영화 흥행요소 중 한가지라고 생각하는데, 이미 연기력으로 입증된 배우들은 물론 아역이라고만 생각했던 김향기 배우의 열연이 영화에 좋은 작용을 했다고 본다. 개인적으로는 김자홍역의 차태현 배우를 보면서 '이 역할에 최적화된 캐스팅'이라고 예상했었는데, 역시 영화를 보는 내내 탁월한 선택이었다는 생각을 했다.


+ Recent posts